dev/기타
포인터형을 변환하는게 너무 헷갈렸다.
int main(void){ int serv_sock=30; printf("%p\n",(int *)&serv_sock); printf("%p\n",&serv_sock); printf("%d\n",*(int *)&serv_sock); return 0;} 위의 코드는다음과 같은 실행결과를 가져온다.. 0x7ffdfc6b14940x7ffdfc6b149430 내가 궁금했던건 (int *)이다. (int *) 는 인트형 포인터로 변환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그냥 주소값을 반환하는거 아닌가? 헷갈린다. 아래 주소에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494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496
아마존 웹서비스 공부 자료들
[튜토리얼]https://aws.amazon.com/ko/getting-started/tutorials/ [아마존 웹서비스를 다루는 기술 ]http://pyrasis.com/book/TheArtOfAmazonWebServices
Dev c++ 라이브러리 추가
dev c++에 라이브러리 추가하는 방법을 포스팅 하겠습니다. 1. 프로젝트 옵션에 들어갑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설정옵션이 나옵니다.그리고 매개변수들을 클릭하고밑에 화면에 보이는 라이브러리나 객체 추가 하기를 눌러서 자신이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추가합니다. C:\Program Files (x86)\Dev-Cpp\MinGW64\x86_64-w64-mingw32\lib 보통 라이브러리의 위치는 저처럼 저기에 위치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libws2_32.a를 추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추가해줬습니다. "../../../../Program Files (x86)/Dev-Cpp/MinGW64/x86_64-w64-mingw32/lib/libws2_32.a"
md5와 암호화
이 md5는 이미 심각한 결함이 있는 암호화 기법이다. 크래커에 의해서 깨졌다고 한다 암튼 암호화의 쟁점에 대해 쓰려고 한다. 만일 id : parkjeongsupw : 111 이라면 이걸 db에 id : parkjeongsupw : md5(111)한 값을 저장 -> 뭐 대충 128 비트의 어떤 특정한 문자열이 반환된다고 한다 ex) afdasfdkjafnjdsf 암튼 DB에 실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복호화된 값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값도 암호화해서 비교하는 것이다. !! 이것이 암호화의 쟁점인것 같다.
node js 에서 supervisor의 역할
코드를 변경할때마다 껏다 켰다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저 슈퍼바이저가 코드가 변경되면 알아서 nodejs를 재실행 시켜준다.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vs 클라우드
웹 호스팅과 서버 호스팅이란것이 다른 것을 알고 있었다. 웹 호스팅은 그냥 공간을 할당 받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고, 서버 호스팅과 클라우드는 같은 것 인줄 알았다. 조금 찾아보니 가비아 홈페이지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http://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1311 하지만 서버 호스팅과 클라우드가 정확히 어떤 차이인줄은 모르겠다.
노드 js 박정수 중간 소감
현재는 send 라는 메소드 와 get 이라는 라우팅 을 통해 그냥 페이지의 흐름 정도는 파악한 상태이다. #시멘틱 웹이란건 우선 query string 은 ex) www.abc.com/abc?id=10&pw=12 이렇게 ? 뒤에 변수 뒤에 나오는 것들을 쿼리 스트링이라고 함 그니까 get 방식으로 전달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변수 res.query.id와 res.query.pw를 통해 10 과 12 접근 가능 반대로 시멘틱 웹이란. semantic URL 방식은 ex) www.abc.com/abc/3/4 위의 코드에서는 res.params.id res.params.pw로 접근이 가능하다 대신의 그 위에 설정하는 방식에서 get(/abc/:id/:pw) 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표현하는 방식을 시멘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