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즈상을 받으신 허준이 교수님이 서울대학교에서 하신 축사를 보았다.하신 말씀 중 나는 "허무의 달콤함" 이라는 단어에 꽂혔다.인생을 살다보면 왜 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왜 살지? 왜 ?그러다보면 절대적 진리를 탐구하게 되는것같다.진리라는게 있을까? 누군가에게는 그게 종교나 뭐 그런걸수 있겠지만나는 그런 절대적 진리를 찾는데 실패했다.그 뒤에 찾아오는게 허무의 달콤함인것같다."어차피 절대적인 것은 없고 의미는 없어."인공지능 시대에 더욱 더 허무의 달콤함은 달콤해질 것 같다.지금은 그런 생각을 한다허무의 달콤함을 벗어나 자신만의 의미와 진리를 찾는 여정이란 생각
와 개발의 세계는 정말 많은 추상화가 있는것같다.기계어의 세계부터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인공지능이 몰아치는 세계까지 얼마나 많은개발자,엔지니어,철학자들이 이 수많은 추상화의 세계를 만들어냈을까..감히 상상도 못하겠다...개발을하면서... 이 수많은 추상화를 다 알수도 없는것 같다..그래서 가끔 개발에서 너무 많은 추상화를 사용하는건.. 독인것같다.. 하지만 추상화가 잘된 서비스나 라이브러리를 잘 이용하는것도 능력이고...뭐 그때그때마다 다른것 같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나는 요즘 이 말의 의미가 뭔지 좀 알것같다.데이터 접근 계층은jdbc - jdbc template - mybatis - jpa - spring jpa등등으로 계속 한단계씩 발전했다.이 기술의 과정을 겪은 개발자와처음부터 이기술이 왜 등장했는지 모른체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선 어떤 차이가 있을까?기술이 발전하면서 추상화되고 내부를 몰라도그냥 쓰기만 하면된다그러다보니 실제로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모르고나중에 문제가 생겼을때 왜? 그런지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것같다.요즘은 이 추상화라는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이세상은 추상화와 구체화의 사이에서 계속반복되는게 아닐까
삶을 살다보니ㅋ이렇게 뭐는 이렇다뭐는 이렇다 라는 말은 대부분 틀린것같다.수학에서는 명확하게 a는 b다 이렇게 말할수 있는게 많이 있지만삶의 영역에선 a는 b다 같은 말들은 대부분 틀린것이다.그저 자신의 환경과 시간속에서정의를 만들어냈지만,그 정의는 엄밀하지 못해 항상 옳은 답을 내주지 않는다.마찬가지로 나도내 정의를 재귀적으로 확실하게 말하진 못한다.사람들이 말하는a는 b다가 "대부분" 틀렸다.라고.. 확정적으로 말하진 못한다
ctrl + B = 해당 구현체로 이동ctrl + alt + 방향키ctrl + e = 그동안 열었던 화면들 보기선택한 줄 위쪽,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 shift + alt + 방향키자동정렬 단축키 = ctrl + alt + L사용하지 않는 import 문제거 = ctrl + alt + o필요한 import 문 추가하기 = alt + enter필요한 구현체 메소드 재정의 = alt +insert#검색class 검색 = ctrl + N파일검색 = ctrl + shift +N심볼검색 = ctrl + alt + shift + N모든 검색 = shift + shift구현체로 이동 = ctrl + alt + B
2023.07 ~ 2025.03프로젝트 기록2023년부터 2025년 3월까지약 1년 8개월간 MES 프로젝트를 진행했다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리더로서 수행했다.(프로젝트 리더란게 특별한것은 아니고 개발도하고 고객사와 협의도 하고 사원들에게 업무도 시키는 .. 노예..?)개발과 관련해선 RMS 와 자동반송 그리고 ESB webServer , 라벨 관련 시스템에 관련해서 나름 이해하게 되었다.시나리오 관련해선 처음 모듈 공장을 해서 어떻게 sheet를 받고 자르고특히하게 여기는 설비에 Wo를 Assign 해서 공장을 운영하는데.. 그점이 이해가 안되었다.뭐 지금은 그냥 그렇게 공장을 운영하는 구나 하고 생각하지만이 방법이 좋은 점은 원하는 Wo를 빠르게 생산할수 있겠지만Wo의 제품의 생산이 끝나갈 무..
친구가 영화를 찍는 일을 한다.대다수의 영화를 찍는 사람이 맛이 없게 영화를 찍는다고 한다.그게 무슨 말이냐면 영화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그냥 돈벌기 위한 수단으로써 영화를 찍는다고 한다.친구는 영화를 찍을때,카메라의 구도부터 이게 어떻게 관객에게 보여질지까지구상을 해서 찍어야한다고 생각하지만그냥 시키니까하고 아무생각없이 다들 영화를 찍는다고 한다.예를 들어 범죄도시의 경우 빌런의 잔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 올려서 관객에게 간장감과 두려움의 감정을 만들어야하는데그걸 빌런의 입장과 동일시하게 찍는것보단피해자 입장에서 보여지게 해야한다고 한다.아무튼 나는 영상쪽은 잘 모르지만이런 사소한 디테일하나가 작품을 예술로 만든다고 생각한다.그런 자세가 없는 사람이 대다수라고 하는것이다.이세상은 한국은 돈이 제일이 된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