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send 라는 메소드 와 get 이라는 라우팅 을 통해 그냥 페이지의 흐름 정도는 파악한 상태이다.
#시멘틱 웹이란건
우선 query string 은
ex) www.abc.com/abc?id=10&pw=12
이렇게 ? 뒤에 변수 뒤에 나오는 것들을 쿼리 스트링이라고 함
그니까 get 방식으로 전달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변수 res.query.id와 res.query.pw를 통해 10 과 12 접근 가능
반대로 시멘틱 웹이란.
semantic URL 방식은 ex) www.abc.com/abc/3/4
위의 코드에서는
res.params.id res.params.pw로 접근이 가능하다
대신의 그 위에 설정하는 방식에서
get(/abc/:id/:pw) 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표현하는 방식을 시멘틱 웹이라고 한다.
'dev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js 에서 supervisor의 역할 (0) | 2018.01.15 |
---|---|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vs 클라우드 (0) | 2018.01.14 |
node js express 예제 1 (0) | 2018.01.14 |
dev c++ gdb를 이용해서 배열 추적하기 (0) | 2018.01.13 |
콜백함수 (0) | 2018.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