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박정수가 공부한 자료를 남기기 위한 블로그
박정수/diary & 일상생활

허무의 달콤함

필즈상을 받으신 허준이 교수님이 서울대학교에서 하신 축사를 보았다.하신 말씀 중 나는 "허무의 달콤함" 이라는 단어에 꽂혔다.인생을 살다보면 왜 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왜 살지? 왜 ?그러다보면 절대적 진리를 탐구하게 되는것같다.진리라는게 있을까? 누군가에게는 그게 종교나 뭐 그런걸수 있겠지만나는 그런 절대적 진리를 찾는데 실패했다.그 뒤에 찾아오는게 허무의 달콤함인것같다."어차피 절대적인 것은 없고 의미는 없어."인공지능 시대에 더욱 더 허무의 달콤함은 달콤해질 것 같다.지금은 그런 생각을 한다허무의 달콤함을 벗어나 자신만의 의미와 진리를 찾는 여정이란 생각

박정수/diary & 일상생활

추상화..

와 개발의 세계는 정말 많은 추상화가 있는것같다.기계어의 세계부터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인공지능이 몰아치는 세계까지 얼마나 많은개발자,엔지니어,철학자들이 이 수많은 추상화의 세계를 만들어냈을까..감히 상상도 못하겠다...개발을하면서... 이 수많은 추상화를 다 알수도 없는것 같다..그래서 가끔 개발에서 너무 많은 추상화를 사용하는건.. 독인것같다.. 하지만 추상화가 잘된 서비스나 라이브러리를 잘 이용하는것도 능력이고...뭐 그때그때마다 다른것 같다.

박정수/diary & 일상생활

추상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있다.나는 요즘 이 말의 의미가 뭔지 좀 알것같다.데이터 접근 계층은jdbc - jdbc template - mybatis - jpa - spring jpa등등으로 계속 한단계씩 발전했다.이 기술의 과정을 겪은 개발자와처음부터 이기술이 왜 등장했는지 모른체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 입장에선 어떤 차이가 있을까?기술이 발전하면서 추상화되고 내부를 몰라도그냥 쓰기만 하면된다그러다보니 실제로 내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모르고나중에 문제가 생겼을때 왜? 그런지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것같다.요즘은 이 추상화라는것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이세상은 추상화와 구체화의 사이에서 계속반복되는게 아닐까

jeongsu
Park_jeong_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