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S 의 약자는
recipe management system 이다.
설비에서 필요한 레시피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사실 해당 영역은 설비를 관리하는 엔지니어의 영역인데
MES를 개발하다보면, 어째든 부딛히게 되는 영역이다.
이게 참 설비의 영역이다 보니, 굉장히 어려운 용어들이 난무한다.
host recipe, recipe Id, PPID, Recipe parmeter 등등
나도 정확히는 정의할 수 없고, 이 내용도 사람마다 다르게 이해한다.
이러한 용어에 대한 정의가 우선 일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나는 내 식대로 한번 정의 해보려고한다.
#### 주의 ####
굉장히 틀릴 수 있음
#### 주의 ####
recipe parameter
설정값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온도 : 80도
시간 : 10분
ppid
Recipe parameter 의 묶음의 이름
ppid1 은
온도 80, 시간 10..
ppid2는
온도 90, 시간 20 ...
Host Recipe
유닛별로 진행해야하는 ppid 의 묶음
host Recipe 1은
unit 1은 ppid1 로 진행해야하고, unit 2 는 ppid2 로 진행해야하는 것의 정의
host Recipe 2는
unit 1은 ppid3으로 진행해야하고, unit 2는 ppid4로 진행해야하는 것을 정의
맞는지 틀리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RMS를 위의 내용처럼 생각하고 있다.
어째든 RMS 라는 건
설비 엔지니어를 위해서
레시피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몇가지 기능들이 핵심이다.
1. 설비와 소통하면서 레시피를 등록, 삭제, 업데이트 할 수 있어야 한다.
2. 레시피의 승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3. 제품을 설비에 투입하기전 레시피 validation 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까지게 MES 개발자가 바라본 RMS 시스템의 역할이다.
레시피 관리는 정말 복잡하게 관리하면, 한도 끝도 없이 복잡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