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를 개발하다보면, ERP 와는 항상 어떻게든 엮이게 되어있다.
우선 MES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링크에 적어 놓았다.
https://jeongsu.tistory.com/255
MES 란 무엇인가? 2021 ver
4년동안 다닌 회사를 그만두면서 마지막으로 MES란 무엇인가를 정리하고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아주 짧게 요약을 먼저 하자면, MES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생산을 할수 있을까?" 를 고민하는 도메
jeongsu.tistory.com
그렇다면 ERP란 무엇일까?
ERP의 약자는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이다.
회사의 자원 계획? 이런 느낌의 단어이다.
MES 라는 시스템이 제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 를
고민하는 시스템이라면
ERP는 현재 공장에서 있는 자원들이 어디에 얼마나 분포해 있고, 얼마나 생산해야만 하며
생산하기 위해선 얼마나 많은 자재들이 필요한지
그런 자원에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다.
그래서 MES와 소통을 할때, MES는 창고에 어떤 자재가 얼마나 있는지 ERP 와 소통하면서
자재 데이터를 생산한다.
또한 생산계획(workOrder)을 받고, 생산 실적을 ERP로 올리기도 한다.
ERP를 개발해본적은 없어서 ERP 에 대한 정확한 프로세스는 모르겠으나, 대략 이런 식이다.
MES를 개발하다보면, ERP 와는 항상 어떻게든 엮이게 되어있다.
우선 MES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링크에 적어 놓았다.
https://jeongsu.tistory.com/255
MES 란 무엇인가? 2021 ver
4년동안 다닌 회사를 그만두면서 마지막으로 MES란 무엇인가를 정리하고 마무리 하려고 합니다. #아주 짧게 요약을 먼저 하자면, MES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생산을 할수 있을까?" 를 고민하는 도메
jeongsu.tistory.com
그렇다면 ERP란 무엇일까?
ERP의 약자는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이다.
회사의 자원 계획? 이런 느낌의 단어이다.
MES 라는 시스템이 제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 를
고민하는 시스템이라면
ERP는 현재 공장에서 있는 자원들이 어디에 얼마나 분포해 있고, 얼마나 생산해야만 하며
생산하기 위해선 얼마나 많은 자재들이 필요한지
그런 자원에 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다.
그래서 MES와 소통을 할때, MES는 창고에 어떤 자재가 얼마나 있는지 ERP 와 소통하면서
자재 데이터를 생산한다.
또한 생산계획(workOrder)을 받고, 생산 실적을 ERP로 올리기도 한다.
ERP를 개발해본적은 없어서 ERP 에 대한 정확한 프로세스는 모르겠으나, 대략 이런 식이다.